8장. 성능 엔지니어링의 정의와 범위
이 내용을 읽게 된 계기 ( 나의 경험 ) 저는 금융 서버 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. 금융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존재합니다.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데이터를 제공해주는 A서버는 B,C,D 서버( 신용카드, 체크카드 등 다양한 자료 ) 를 수집하여 복잡한 계산 후 응답을 줍니다. 1차적으로 B,C,D를 병렬로 응답을 받아와서 처리하면 어느정도 개선은 가능합니다. 다만, 여기서 몇가지 고민이 생겨 책(조대협-대용량아키텍쳐와 성능 튜닝)을 읽게 되었습니다 Analysis Layer 구축이 어려움 : A 서버는 B,C,D 서버 응답을 통해 만들어진 데이터이기 떄문에 Persistence Layer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. 물론, B,C,D 서버에서 저장한 데이터 기반으로 Dataware house를 만들수 있겠지만 ..
단축키
내 블로그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새 글 쓰기 |
W
W
|
블로그 게시글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모든 영역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